여러분!

아름다운 봄이에요~^^

두리번거리면서 발 아래, 둘레를 살펴보세요.

새싹이 돋는 게 보이지 않나요?

아마 하느님께서도 인간이 나고 죽고, 다시 아이가 태어나는 모습을 보면서 신비롭다 하지 않을까 싶네요.ㅎㅎ

암튼 채 녹지 않는 흙을 뚫고 싹이 돋아나는 식물의 힘은 놀랍습니다.

 

수년 동안, 아니 어린시절 경험까지 더하면 수십년을 우리 풀꽃과 함께한 풀꽃 삼촌 김영철 아저씨가 직접 보고 살피고 조사하여 쓴 <우리 풀꽃 이야기>가 곧 책으로 나온답니다. 여기에 세밀화 그림을 넣기 위해 1년 내내 곳곳을 돌아다니며 자료 조사와 취재 등을 해온 이승원, 박동호 화가들의 세밀화가 더해졌습니다.

 

이 책을 읽게 되면

냉이가 여름잠을 잔다는 것도 알 게 되고,

파리약을 사지 않고도 이 식물의 뿌리로 파리약을 만들 수도 있고,

팔만대장경을 보관한 해인사를 비롯하여 불경 등 옛날에 책을 많이 만들던 절 주변에 상사화가 많이 자라는 까닭

또한
알 수 있답니다.

 

이것 말고도 우리 풀꽃들의 비밀을 비롯하여 식물에 관한 지식 들을 아주 쉽게 깨칠 수 있습니다.

아름다운 세밀화 감상은 두말할 것도 없고요.^^

 

 

임시로 만든 표지입니다. 곧 최종 표지가 나올 텐데, 그때 다시 정식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책을 먼저 본 분들의 소감을 살짝 볼까요?^^

----------

자연과 친구가 되어 보면 어떨까요. 친구가 되려면 먼저 이름은 알아야겠지요. 그리고 어떻게 살아가는지, 왜 그렇게 살게 되었는지, 이름은 무엇 때문에 붙여지게 되었는지 따위를 알면 알수록 점점 친한 친구가 되지 않을까요? 이 책은 여러분이 식물과 친구가 되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 생태세밀화가 이태수


어린 시절을 자연에서 보낸 아름다운 추억은 삶을 밀어가는 데 없어서는 안 될 큰 힘입니다. - 농부 시인 서정홍

 

어린시절 자연에서 몸으로 체험한 식물에 대한 경험을 소개하고 있으며, 부모 세대의 식물에 대한 경험 소개와 궁금증을 해결하는 과정을 짧은 에피소드의 수필처럼 다루고 있다. 소소한 일상생활의 한 부분에 식물에 대한 이야기를 끼워 넣음으로써, 식물과 인간의 삶이 하나임을 잘 드러내고 있다. - 간행물윤리위원회 심사평


Posted by 익은수박
,

식물과 대화하는 영철이 삼촌의 '우리 풀꽃 이야기'(우리교육, 2012년 2월 출간 예정)

  

이보다 더 쓴맛은 없다

     - 수수꽃다리(라일락), 소태나무 이야기

 

식물의 잎을 뜯어서 맛을 보면 어떤 맛일까? 하고 궁금해한 적이 없었나요? 아마도 많았을 거예요. 어떤 식물의 잎에서는 신맛이 나요. 또 어떤 식물의 잎에서는 매운맛이 나기도 하지요. 그런데 내 생각으로는 이 식물들만큼 쓴맛을 내는 식물은 없던 것 같아요.

 

우리 자생식물에 대해 공부를 시작한 지 얼마 안 되었을 때 일이었어요. 자주 함께 식물을 공부하는 친구들과 학교 안을 다니며 식물을 관찰하곤 했어요. 어느 날 한 친구가 어떤 나뭇잎을 하나 따서는 먹어 보라는 거였어요.

“너네, 이거 먹어 봤어? 얼마나 맛있다고. 이게 라일락 잎인데, 꽃향기가 얼마나 좋은지 몰라. 그런데 맛은 모르지? 이 잎이 얼마나 달고 맛있는지 ‘첫사랑의 달콤한 맛’이라고 하는데….”

 

그러자 다들 잎을 한 조각씩 잘라서는 입에 넣고 씹었어요. 그 다음은 어떤 일이 벌어졌을 까요? 짐작이 가지요? 그래요. 모두 얼굴을 찡그리고 씹던 나뭇잎을 뱉어내기 시작했어요.

“퉤퉤! 뭐야, 너 이리 와. 퉤퉤, 이렇게 쓴데 맛있다고. 너 잡히면 죽어!”

 

나뭇잎을 먹어보라던 친구는 벌써 멀찌감치 도망을 간 뒤였어요. 라일락의 우리 말 이름은 ‘수수꽃다리’라고 해요. 봄이면 흰빛, 보랏빛, 분홍빛 꽃을 피우고 아주 진한 향기를 낸답니다. 그런데 잎은 무지 쓴맛이 나요. 그래서 ‘첫사랑의 달콤한 맛’이 아니라 이루지 못한 ‘첫사랑의 쓴맛’이라는 별명이 붙었답니다. 그나저나 아까 그 친구는 어떻게 되었냐고요? 친구들한테 잡혀서 뒤통수 몇 대 맞았죠. 그 뒤로도 기회만 있으면 수수꽃다리 잎을 가지고 장난을 쳤어요. 물론 열심히 공부도 했지요. 그래서 지금은 우리가 먹는 감자를 연구하는 박사가 되어 있답니다.

 

식물 이름에 벌써 ‘나는 쓴맛이 있어요’라고 말하는 것이 있답니다. 그것은 우리가 봄이면 나물로 먹는 씀바귀라는 식물이에요. 사실 이 씀바귀는 이름처럼 그렇게 쓰지 않답니다. 조금 쌉쌀한 정도예요. 정말로 쓴맛이 강한 식물은 따로 있어요.

 

어머니가 몸살로 알아 누워 계실 때였어요. 식사도 못 하는 것이 안타까워 뭐라도 드실 것을 권했지요. 그때 어머니는 이렇게 얘기하시곤 했어요.

“입맛이 소태 씹은 맛이다. 나중에 먹으마….”

어머니의 이 말씀에 나를 궁금하게 하는 것이 있었어요. 바로 ‘소태’라는 것이었어요. 나중에 알고 보니 입맛이 아주 쓰다고 할 때 ‘소태 씹은 맛이 난다’고 하는 것이었어요. 그러다 우연한 기회에 소태의 비밀을 알게 되었답니다.

 

봄이 깊어 여름으로 접어들 무렵 국립수목원으로 견학을 갔을 때였어요. 그곳에서 ‘소태나무’라는 푯말이 붙은 나무를 보았어요.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답니다. ‘혹시 이것이 바로 그 소태?’ 그러고는 잎을 하나 따서는 조금 잘라 씹어 보았지요.

“우와, 쓰다 써! 이게 바로 그 소태구나. 어유, 퉤퉤!”

소태 맛을 실감했답니다. 한동안 소태나무 잎의 쓴맛이 입안에 남아 있었지요. 점심을 먹고 나서야 입안의 쓴 느낌이 덜해진 것으로 기억합니다.

 

가끔 나도 사람들에게 장난을 한답니다. 식물을 관찰하다 소태나무를 만나면 시치미를 뚝 떼고 한번 씹어 보라고 하는 거예요. 사람들은 의심의 눈으로 머뭇거리면서도 하나씩 뜯어서는 입에 넣고 씹어 본답니다. 모두 쓴맛 때문에 인상이 찌푸려질 때쯤 나무의 이름을 이야기하지요. 그러면 고개를 끄덕이며 이렇게 이야기를 하곤 했어요.

“정말 쓰네요! 대신 이름은 절대 잊어버리지 않겠어요.”

여러분도 기회가 있으면 한번 맛을 보세요. 절대로 잊어버리지 않을 거예요.

 

이렇게 쓴맛이 나는 식물을 벌레나 다른 동물들이 좋아할까요? 아마도 먹을 것이 없어서 이 쓴 나뭇잎만 먹어야 한다면 모를까 입에도 대지 않을 거예요. 바로 그것이 이 친구들의 속셈이랍니다.

“이렇게 쓴맛이 나는데, 나를 먹겠다고? 아마도 조심해야 할걸. 배탈 나지 않게….”

이런 때문인지 쓴맛이 나는 나뭇잎에서는 벌레들이 잎을 갈아먹은 자국을 찾아보기 어렵답니다.

 

* 그 밖에도 식물체에서 쓴맛이 나는 것으로는 쓴풀, 개쓴풀, 네귀쓴풀, 큰잎쓴풀 들이 있음. 

Posted by 익은수박
,

<시사인>이라는 주간지가 있다. <한겨레21>이나 <위클리 경향>과 비슷한(하지만 저마다 개성과 특징이 있다!) 잡지인데, 최소한이나마 상식을 추구하려는 분들은 대개 기본으로 이 세 잡지 가운데 하나는 본다고들 한다. 물론 중딩이나 고딩들도 논술이든 시사 상식이든 공부를 위해서도 꼭 본다고들 한다. ㅎㅎ

 

암튼 저기 <시사인>이라는 잡지에 <아까운 걸작>이라는 꼭지가 있다. 좋은 책인데 아깝게도 많은 독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지 못해 아쉬운, 그런 책을 소개하는 꼭지다. 8월 첫주(150호?)에 나오는 <시사인>에 <곤충전설>이 나왔다. 누가 썼냐고요? 제가 썼어요.ㅎㅎ

시사인 홈페이지(아까운 걸작 꼭지 바로가기)에는 아직 안 올라 있다. 한두 주 뒤에나 올라올 것 같다. 여기 먼저 올렸다고 <시사인>에서 뭐라 하지는 않겠지?

아이를 둔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곤충전설> 많이 읽혀 주시고, <시사인>도 많이들 봐 주시길 빈다^^

--------------

곤충들의 전설을 담은 아깝지 않은 걸작!

벌레들도 저마다 사연이 있을까? 있단다. 그 사연들이 전해지고 전해져 이제는 전설이 되었단다. 수많은 전설 가운데 고르고 골라 우선 열두 전설을 모은 ≪곤충 전설≫이다.

 

이른 아침 매앰매앰 울어대며 단잠을 깨우는 매미, 날카로운 침을 쏠 것만 같은 벌, 귓가에서 윙윙거리다 어느새 피를 빠는 모기…. 우리 둘레에는 온갖 벌레들이 산다. 사람과 달리 안 사는 곳이 없다. 이 벌레들도 새끼를 낳아 돌보고, 먹이를 구하고, 꾸미고, 겨울을 나고, 시간이 흘러 죽고 하는 과정이 사람과 다를 바 없다. 이들의 삶에도 어떤 사연이 있고, 역사가 있을까?

신월중학교 이상대 선생님은 벌레마다 특징을 살펴 그 사연을 붙여주기 시작했다. 재미를 붙여 학교 아이들까지 꼬드겨 함께 하였다. 사연을 붙여 가면서 정말 그렇게 살았을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단다. 결국 전설이 완성된 것이다.

 












사람들은 벌레들을 오해하며 산다. 아니, 근대 문명이 발달하고 서양의 인식론이 널리 퍼지면서 벌레에 대한 오해는
확산되었다. 내쫓고 차단하고 죽여 가며 사람이 사는 영역에서는 될수록 벌레가 보이지 않게 하려 한다. 몸 안의 병균 대하듯이.

균이 병을 키우기도 하지만 면역력을 키워주듯, 사람들은 벌레들에게 큰 신세를 지고 산다. 과일이며 채소며 꿀이며 약이며 벌레들에게서 얻는 것들은 셀 수 없다. 그런데도 우리는 벌레들의 고마움을 까맣게 잊고 살아간다. 거리낌 없이 산을 두 동강내서 길을 뚫고, 강을 헤집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별이 빛나는 여름밤, 벌레들에게서 전해오는 전설을 아이들에게 ‘들려주자’. 이런 아이들이라면 거리낌 없이 강을 파헤치거나 산을 두 동강 내는 일은 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면 다음 <곤충 전설>도 이어질 것이고. 벌레들의 삶처럼 대박이 아닌 소박하게 이 책이 널리 읽히길 기대한다.

01234567891011


나오는 곤충들

1. 하루살이는 왜 하루만 살게 되었을까
2. 똥파리가 똥을 먹게 된 사연
3. 귀뚜라미와 반딧불이의 어긋난 사랑
4. 땅강아지는 왜 땅속을 헤매고 다닐까
5. 칠성무당벌레의 딱지날개에 깃든 사연
6. 나나니벌이 혼자 사는 까닭
7. 개미와 진딧물이 친한 까닭
8. 깊앞잡이의 슬픔
9. 방아깨비와 섬서구메뚜기의 이마가 납작한 까닭
10. 모기는 왜 피를 빨아먹을까
11. 어미를 부르는 매미의 노래
12. 고추잠자리의 꿈

Posted by 익은수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