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부추기고자 하는 마음도 있고, 요즘 아이들과 소통하고도 싶고, 그동안 해오던 토론 모임의 연장 및 확장의 욕구도 있고.... 하여 이런저런 궁리를 하다가 동네 청소년들과 책 읽기 모임을 한번 해보고 싶어졌다.

아무래도 쉽지 않은 일일 수 있다. 일단 함께할 친구들을 찾는 것도 그렇겠고, 학교공부나 학원에 더 관심이 있을 법한 친구들이 대부분일 텐데 이런 모임에 마음이 움직일까? 


암튼 차근차근 자료도 모아 보고, 나도 공부도 좀 하면서 연말에는 윤곽을 그려 볼 수 있으면 좋겠다. 

이 모임이 해오던 토론 모임의 확장이 될 수 있으면 더욱 좋겠고....


'가화'도 못 하는 주제에 이런 고민이라니.........ㅠ


-----



인문고전 읽기가 중요하다는 말은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어왔다. 하지만 막상 읽으려고 하면 막막하기만 하다. 100권이 넘어가는 추천도서 목록에 기부터 죽는 데다 마음 먹고 책을 펼쳐도 어려운 내용에 잠이 쏟아지기 일쑤다. 어떤 책을 읽어야 할지, 어떻게 읽어야 할지도 잘 모른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고전을 읽는 방법들을 알고 나면 고전 읽기의 첫걸음을 좀 더 쉽게 뗄 수 있을 것이다. 







읽기 전에 관심사 파악하고 쉬운 책 먼저 읽어야

책을 고르기 전 자신의 관심사가 무엇인지 먼저 돌아보는 게 중요하다. 문학·역사·철학·과학 등 관심 분야에 맞춰 읽을 책을 선택하는 게 좋다. 관심 있는 분야라면 읽기가 좀 어렵더라도 한결 편하게 책장을 넘길 수 있다. 서울대 문용린(교육학과) 교수는 “소위 ‘필독서’라고 하는 목록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독서목록을 만들라”고 말했다.

연세대 정과리(국문과) 교수는 “처음 고전을 읽는다면 오래된 작품이면서 동시에 대중성이 있는 소설을 읽는 게 실패할 확률이 낮다”고 조언했다. 소설은 줄거리가 있는 ‘이야기’다 보니 사회과학 서적에 비해 비교적 쉽게 읽힌다. 이후 교양서나 사상서 등 사회과학 서적으로 독서 영역을 넓히며 시야를 확장하자. 같은 작품이라도 청소년용으로 나온 책이 있는지 먼저 찾아보는 것도 잊지 말자. 좀 더 이해하기 쉽게 쓰여 있고 해설도 곁들여져 있다.

책을 정했다면 이제 탐색전이다. 본격적인 독서에 앞서 읽기로 한 책에 대해 사전조사를 하자. 작가에 대한 소개, 책이 쓰인진 곳, 시대적 상황 등을 먼저 살피며 책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얻은 배경지식으로 작품을 좀 더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내 관심사와 맞는 책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읽어 나가며 목차 활용해 흐름을 파악

전체적인 맥락을 이해하는 데 주안점을 두자. 저자가 말하고 싶은 내용과 책에서 제시하는 새로운 생각, 그에 대한 자신의 의견과 느낌만 파악해도 충분하다.

이때 목차가 유용하다. 목차는 책의 지도와 같은 역할을 한다. 이화여대 한수영(국문과) 교수는 “목차는 책 전체의 스토리를 보여 주고 각 부분의 핵심어를 알려 준다”며 “책을 읽는 도중에도 수시로 목차를 확인해 앞뒤 내용을 비교해 가며 읽는다면 큰 흐름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읽으면서 중요하다는 생각이 드는 부분은 메모해 두자. 서울 오산고 박정준 교사는 “챕터별로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거나 마음에 와 닿는 구절은 표시해 두고 짤막한 이유를 함께 적어 둬라”고 조언했다. 책을 읽으며 인상 깊은 부분마다 ‘왜’ ‘어떻게’라고 자문하고, 독서가 끝난 뒤에도 답을 찾지 못했다면 인터넷과 백과사전·신문을 이용하자. 책 내용에 대해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 사고력과 배경지식을 키워 준다. 기억에도 오래 남는다. 




관심사에 맞는 책을 고른 뒤 맥락을 이해하자는 생각으로 읽어나가면 고전 읽기의 첫걸음은 한결 수월해진다. 읽을 책에 대한 사전조사도 읽기에 도움이 된다. [김진원 기자]




읽고 나서 끊임없이 ‘나’와 연관시켜 읽기

『리딩으로 리드하라』를 쓴 이지성 작가는 “고전 읽기는 책을 다 읽은 뒤 ‘생각하는 단계’도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만약 논어의 한 구절을 읽었다면 먼저 공자 입장에서 생각해 보는 것뿐 아니라 각 제자들 입장에서, 노자나 장자 심지어 예수나 석가모니 등 다른 사상가 입장에서 끊임없이 사색해 보면서 생각의 폭을 넓혀 갈 수 있다. 

DA 300



한 교수는 “책을 한 권 읽었다는 사실 자체는 큰 의미가 없다”며 “자신이 책을 어떻게 받아들였는지 계속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주관적인 느낌도 중요하지만 객관적인 근거를 들어 비평해 보자. ‘이 작품은 이런 이유로 탁월하다’는 식이다. 상상력을 발휘해 내가 사는 사회와 연결시켜 보자. ‘고리타분한 이야기’거나 ‘남의 이야기’가 아닌 ‘살아 있는 내 이야기’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사회과학 서적은 지금 발생하는 사건이나 사회 문제들과 연관 지어 볼 수 있으며 인물평전의 경우 자신이 살아오면서 겪은 경험과 연결해 볼 수 있다. 이런 활동을 토대로 글을 쓰면 자연스럽게 깊이가 더해진다. 이때 찾은 관련 자료나 신문기사도 함께 모아 두자. 일련의 활동을 차곡차곡 기록해 두면 나만의 특별한 독서 포트폴리오가 된다. 

[출처: 중앙일보] [인문고전 읽기] 소설로 시작하면 부담 적어요, 청소년용은 이해하기 쉽죠

Posted by 익은수박
,
이제야 티스토리에 보금자리를 마련했습니다.
그렇게 초대장 구하기가 어렵더니, 막상 생기니 참으로 쉽게 얻은 느낌이 드네요.
아~
내집마련을 한 기분이네요.
앞으로 집을 어떻게 꾸밀지 차근차근 고민해 봐야겠네요.

Posted by 익은수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