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직설'에서

 

놓친 점을 놓치지 않고 조금씩 바뀌어 가는 모습을 담아낸 글이다. 

시각장애인 구독자 한 명을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면 있을 수 없는 일인지도 모른다. 

나를 바꾸는 일은 이런 작은 부분에 눈길을 두는 데서 시작된다.

부지런함이다. 게으름뱅이가 되지 말아야겠다!

 

---

[직설]청각 정보와 함께하는 글

 

‘일간 이슬아’ 연재를 하며 구독자로부터 아주 많은 e메일을 받는다. 체력의 한계 때문에 모든 피드백과 요청에 응답할 수는 없으나, 수백 통의 메일 목록에서도 특히 중요한 이야기는 놓치지 않고 알아볼 수 있다. 그중 하나는 시각장애인 구독자인 김 선생님의 이야기다.

                                                          이슬아 ‘일간 이슬아’ 발행인 글쓰기 교사

 

2018년 겨울. 김 선생님과 메일을 주고받으면서 시각장애인 독자가 내 글을 듣는 속도에 관해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김 선생님은 일반적인 컴퓨터에 ‘센스리더’라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서 쓰신다. 화면을 음성 언어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이다. 변환된 나의 글을 샘플로 보내주시기도 했다.

 

샘플 파일을 듣고 깜짝 놀랐던 기억이 난다. 낭독 속도가 너무 빨라서였다. 내 글이지만 모르는 래퍼가 쓴 가사처럼 들렸다. 놀랍게도 선생님께서는 평소에도 그 속도로 책을 듣는다고 대답하셨다. ‘워낙 듣기에 단련된 몸’이라서 그렇다고. 나는 파일을 몇 번이고 돌려들으며 선생님이 단련해오신 듣기 능력에 관해 계속 생각했다. 대단한 경지로 느껴졌다. 선생님께서는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재생 속도를 다르게 조절한다면서 이렇게 덧붙이셨다. “팟캐스트 뉴스는 주로 2배속으로 듣고, 독서 관련 방송은 정속으로 정중하게 듣습니다.”

 

번거로움을 감수하며 내 글을 들어주시는 김 선생님과 ‘센스리더’의 개발자님께 감사함을 느꼈다. 한편으로는 내가 쓴 글을 내 목소리로 읽어드리고 싶은 마음도 생겼다. 어떤 단어는 힘주어 발음하고 어떤 단어는 무심히 발음하며 나의 평소 말투와 속도로 낭독하면 가장 정확하게 전달될 것 같았다. 그래서 ‘일간 이슬아’ 2년차부터 낭독 서비스를 추가했다. 작가가 한 달에 한 번씩 직접 글을 읽고 음성 파일을 첨부해서 텍스트와 함께 발송하는 방식이다. 요즘엔 시각장애인 구독자뿐 아니라 비장애인 구독자들도 낭독을 기다려주신다. 나는 편안하고 듣기 좋은 말소리를 연습한 뒤 긴 글을 녹음한다.

 

‘일간 이슬아’ 3년차에 추가한 것은 ‘인터뷰 음성 지원’ 서비스다. 인터뷰 코너는 애독자가 많다. 인터뷰이와 인터뷰어가 정중하면서도 경쾌하게 상호작용하는 장르다. 유능한 동료 사진가가 동행해서 찍은 사진도 사랑받았다. 인터뷰이의 모습, 주름, 웃음, 두 사람 사이의 긴장감이 사진에 담겨서 대화를 입체적으로 만드니까. 그런데 매번 인터뷰 사진을 신중하게 편집하면서도 김 선생님의 입장에서 생각해보지 못했다. 사진이라는 시각 정보는 선생님께 전달되지 못할 텐데 말이다.

하루는 선생님이 이런 메일을 보내주셨다. “사진을 볼 수 없는 저로선 그분들의 인터뷰 음성을 짧게라도 들어봤으면 하는 욕심이 듭니다. 그럴 수 있다면 더 생생하게 그분들을 느낄 것 같습니다.” 나는 반성한 뒤 다음날 ‘인터뷰 음성 지원’ 기능을 추가했다. 녹취 파일 중 인터뷰이의 특징이 유독 잘 담긴 구간을 3분 분량으로 편집해서 올렸다. 그러자 문경에서 만난 농부님의 목소리뿐 아니라 평상 위에서 수박 써는 소리, 바람이 벼를 스치는 소리, 하우스에서 오이를 따는 소리도 인터뷰 원고에 포함되었다. 시각 정보와는 또 다르게 강렬하고 구체적이었다. 김 선생님께서는 이것을 ‘행복한 소리’라고 말씀하셨다.

 

‘일간 이슬아’는 비장애인에게 더 편리한 매체로 시작했지만 해를 거듭하며 조금씩 수정되고 있다. 한 사람의 시각장애인 구독자를 만나면서 그렇게 되었다. 내가 놓친 부족한 점이 여전히 많을 텐데 필요한 것을 알아챌 때마다 빠르게 개선하고 싶다.



Posted by 익은수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