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국가가 우리에게 주는 것

On National Greatness



조국의 위대함은 개인에게 무엇을 해주는가? 뭔가 중요한 걸 해주기는 하는데 분석하기가 그리 쉽지는 않다. 지난 2세기 동안 누려왔던 위대한 지위를 상실하기 시작한 나라의 국민으로서 나는 정치적 위상의 변화가 개인의 심리에 야기하는 변화를 첨예하게 느끼고 있다. 그리고 내가 1896년부터 알아온 미국에서는 정반대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물론 그 변화가 완전히 성취되려면 멀었지만 말이다. 어쨌든 이 상반되는 변화의 내용이 무엇인지 살펴보기로 하자. 


국가적 성공이 개인적 성취에 자극이 된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아테네인은 페르시아인을 쳐부수고 나서 파르테논 신전을 지었고 아이스킬로스Aeschylos(BC525~BC456년, 고대 그리스의 비극 시인)를 낳았다. 영국인은 스페인 함대를 물리치고 나서 세익스피어를 낳았다. 프랑스 문학의 황금기는 루이 14세가 거둔 승리들과 연관이 있었다. 이런 사례를 들자면 끝도 없을 것이다. 


국가적 노력의 성공과 연관 짓지 않고서는 찾아보기 히든 일종의 개인적 생산성이 존재한다. 그것과 관계 없는 개인적 생산성도 있기는 하다. 바흐, 모차르트, 베토벤은 자신들의 음악전 천재성을 자극하는 국가적 성공을 누린 바가 없다. 스피노자Baruch de Spinoza(1632~1677년, 네덜란드 철학자로 유대인이었다)는 억압받는 민족과 패배의 과정을 밟고 있던 국가에 속했다. 개인적인 위대함과 사회적 원인에 의존하는 위대함 사이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공적인 번영에 의지하는 성취의 가장 뚜렷한 예로 건축이 있다. 건축은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순한 이유 때문이다. 금세기 건축 분야에서는 미국이 세계를 주도해왔다. 다른 나라들이 거부한 기회들을 미국의 건축가들은 따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는 건축이 보통 사람들에게 부응해왔다.


뉴요커는 시민으로서의 자부심을 가지고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에 대해 말하지만 그 자부심이 언제나 뉴욕 시정 덕분에 생긴 것은 아니다. 건축가의 성공은 어느 정도는 모든 시민의 성공이기도 하다. 만약 뉴욕 시민이 외국인과 논쟁을 벌인다면 외국인에게는 내세울 만한 마천루가 없다는 점도 그에게 자신감을 주는 한 이유가 된다. 요듬 들어서는 이런 태도가 다소 누그러졌지만 당분간은 계속될 것이다. 


국가적 성공의 효과는 청년들과 관련 있는 분야에서 극대화된다. 개인적 차원에서 뛰어난 성취를 이루려면 두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첫재는 능력으로, 이는 부분적으로는 타고나며 부분적으로는 교육의 결과로 얻게 된다. 둘째는 보통사람이 할 수 없는 것을 자신은 해낼 수 있다는 자신감이다. 정치적 상황의 영향을 받는 것은 바로 이 두 번째 조건이다. 


어떤 멍청한 인간이 진정한 천재는 늘 신중하다는 관념을 세상에 뿌려놓았다. 사실은 정반대다. 어떤 청년이 신중하다면 설사 능력이 있더라도 부모와 동료들로부터 조롱받는 신세를 면하지 못할 것이다. 천재라고 자부해봐야 검증되기 전까지는 비웃음이나 사게 될 테니까.


젊은이들을 위해 가장 바람직한 것은 누구나 위대한 업적을 남길 만한 능력이 있다고 믿어주는 분위기, 따라서 그들의 자부심이 질투에 따른 조소를 불러일으키지 않는 분위기에서 사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사업과 직업 및 건축(이것은 사업인 동시에 예술이다) 분야에서의 성공이 청년이 품어야 할 자연스럽고 가치 있는 야망으로 인식되고 있다. 


모차르트와 베토벤은 음악으로 성공하는 것을 자연스럽게 여기는 가정에서 태어났다. 주위 어른들의 그러한 기대는 젊은 시절의 야망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므로 국가적 성공의 전반적인 방향을 결정하는 데 다른 어떤 것보다 많은 역할을 할 수 있다. 


교훈은 이것이다. 청년에게 그가 할 수 있는 최선의 것을 기대하라. 그러면 당신은 그걸 얻게 될 것이다. 적게 기대하면 결코 기대하는 것 이상은 얻지 못할 것이다.(1932. 1. 20.)


Posted by 익은수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