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아니 투표만 습관에 따라 하는 건 아닐 테다. 많은 일상이 습관처럼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성찰이 습관화되어 있지 않은 탓이지 싶다. 적어도 세상을 바꾸고자 하는 사람들은 성찰이 우선되어야 하지 않을까? 세상을 바꾸고자 하는 사람도 이미 세상의 일부이잖은가. 결국 자신이 바뀌지 않는 한 세상은 안 바뀔 테니까. 이번 선거에서 떨어지고 나서 이 글을 읽은 게 조금은 아쉽다. 뭐, 선거 전에 읽었다고 해서 크게 달라지진 않았겠지만... 그래도 마음가짐이 달랐을 텐데!ㅎㅎㅎ
-----
우리가 투표를 하는 진짜 이유
On Politician
나라가 민주적으로 될수록 그 통치자들에 대한 존경심이 줄어든다는 사실이 신기하다. 귀족들과 외국인 정복자들은 증오를 받을지는 몰라도 경멸을 받지는 않는다. 자신들을 다스릴 사람을 국민이 선출하니 당연히 다수의 존경과 사랑을 받는 이가 뽑히고, 다른 사람들의 사정을 살피는 섬세함과 책임감이 요구되는 자리이니 가장 현명하고 우수한 사람이 선택될 듯싶다.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가 못하다. 대부분의 민주주의 국가에서 누군가를 정치가라고 부르는 것은 곧 그 사람을 조롱하는 행위가 된다. 공동체에서 평판이 좋은 사람들은 거의 예외 없이 투표에서 이기려고 아등바등하지 않고, 설령 시도하더라도 실패하기 마련이다. 반면 투표에서 이기는 사람들은 전적으로 훌륭하다고만은 할 수 없는 그런 분야의 전문가이기 일쑤다(최고 관직을 차지하는 사람들을 염두에 두고 하는 얘기는 아니다).
민주주의의 개척자들도 이 역설적인 상황은 미처 예견하지 못했다. 사실 그들의 시대에는 이런 현상이 없었다. 민주주의가 새로운 것일 때는 위대한 사람들이 부상(浮上)하지만, 확고하게 자리를 잡으면 이 장점을 잃어버린다. 대체 왜 그런 일이 벌어질까?
누구나 준비된 대답을 갖고 있다. 그것은 정당 조직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은 반쪽짜리 대답일 뿐이다. 우리 모두가 정당 조직에 복종하는 이유를 설명해 주지는 못하니까. 만약 사탄과 바알세불(신약성서에 나오는 악귀의 우두머리)이 후보로 공천을 받고 대천사가브리엘이 무소속으로 나온다면 대천사가 당선될 확률이 전혀 없을 터이니, 이게 어찌된 노릇인가? 이상하다 싶을지 모르지만 이것이 현실이다.
한 가지 이유는, 무소속 후보는 어마어마한 규모의 선거 자금을 주무르지 못하며 따라서 정치가들의 숙달된 기술로 대중의 열정을 불러일으킬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역시도 모든 것을 해명하지는 못한다. 왜 사람들이 무소속 후보에게 선거 자금 기부하기를 그렇게 꺼리는가 하는 궁금증은 남기 때문이다. 그 대답은 물론 무소속 후보들이 당선될 가능성은 별로 없다는 것인데, 그것은 무소속 후보에게 표를 던지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대답은 우리를 맨 처음의 질문으로 되돌아가게 만들 뿐이다. 왜 그들은 당선될 가능성이 없는가?
내가 볼 때 그 궁극적인 이유 가운데 거의 알려지지 않은 게 바로 습관이다. 사람들은 대부분 특정 후보의 장단점을 따지지도 않은 채 자신들이 늘 투표해왔던 대로 그리고 그들의 아버지가 늘 투표해왔던 대로 표를 던진다. 이는 보수주의자들뿐 아니라 개혁주의자들에게도 똑같이 적용된다.
영국에 사는 나로 말하자면 아버지가 급진파였으므로 노동당에 투표한다. 아버지는 당신의 아버지가 자유당 지지자였으므로 급진파가 됐고 할아버지는 당신의 아버지가 휘그당 지지자였으르모 자유당 지지자가 됐다. 그리고 그분이 휘그당 지지자가 된 것은 선조들이 헨리 8세로부터 수도원 토지를 하사받았기 때문이다.
나의 급진주의는 이처럼 금전상의 원인에서 비롯했으니 그럼 나는 보수당 지지자로 돌아서야 할까? 생각만 해도 심란해진다. 습관의 힘에서 벗어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으며 설사 벗어난다 하더라도 의혹에 시달리는 상태가 되어 결국 아무것도 성취하지 못할 것이다. 여전히 습관이 지배하는 한, 훌륭한 사람들이 정치에서 기회를 얻기란 거의 불가능할 것이다.
그렇다면 아무 해결책이 없는가? 아니 있다. 그것은 정도의 문제이다. 우리는 어느 정도까지는 습관의 지배를 받기 마련이지만 지금보다는 그 정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줄어든 부분이 모든 것을 달라지게 할 수도 있다.
한편으로, 민주주의에서 우리의 정치가를 비판하는 것은 우리 자신을 비판하는 것과 같다는 점을 기억하자. 우리의 수준이 곧 정치가의 수준이다. (1931.12.16.)
'물소리*바람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트런드 러셀_런던통신]위대한 국가가 우리에게 주는 것 (0) | 2018.07.11 |
---|---|
[버트런드 러셀_런던통신]두 번의 크리스마스 (0) | 2018.07.11 |
[버트런드 러셀_런던통신]결혼이란 (0) | 2018.07.06 |
[버트런드 러셀_런던통신]명상이 사라진 시대 (0) | 2018.07.06 |
[버트런드 러셀_런던통신]비겁해서 좋은 점 (0) | 2018.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