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아이 앞날을 비롯해 요즘 청소년이나 청년, 심지어 나. 아니, 우리 앞날을 고민하며 어떻게 살아야 할까 뭘 하며 살아야 할까 고민이 될 때가 있다. 다가올 미래는 낙관만 하기에는 좀 그렇기에... 대개 젊은이들에게 열정을 불태울 일을 찾아가라고 덤으로 높은 수입을 얻을 수 있는 일을 찾으라고 쉽게들 말하곤 한다.
개뻥! 곰곰이 생각해 보면 나는 친구들보다 10년 늦게 졸업(아니, 떼려쳤다)하고 사회 생활도 그러했다. 그때 고민을 하길, 보통의 행로로 사회에 나가서 뭘 하기에는 벌써 늦었으니 내가 하고 싶은 것 할 수 있을 만한 일을 찾으려 한 것 같다. 학창시절 운동을 했으니 거기에서 생긴 가치관, 삶의 방식 등을 모른 체할 수는 없었다. 그런 사회적인 가치 공동체적 가치를 조금이나마 실현할 수 있는 일을 하고 싶었던 것 같다.
타인의 삶을 바꿀 수 있는 일을 좇다 보면 자신도 어느새 바뀌어 있을 거라고 본다. 타인의 삶만 바꿀 수 있는 사람은 위험할 수도 있다. 암튼 이런 사람들의 모습을 모아보고 정리해 보는 일도 의미 있겠다.
-----
열정보다는 타인의 삶을 바꿀 수 있는 일을 좇아야 합니다
일반적인 사람은 인생의 1/3 이상을 직장에서 보냅니다. 따라서 가치 있고 보람찬 진로를 선택하는 것은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아주 중요합니다. 그리고 이는 건강한 사회와 경제를 만드는 데 일조합니다. 하지만 사회 초년생들을 대상으로 한 진로 상담은 여전히 실용적이지 않습니다. 실체를 알기 힘든 열정만을 따르라고 강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학창 시절을 떠올려보면 일반적으로 진로 선택에 대한 두 가지 조언이 있었습니다. 첫째는 ‘높은 연봉’, 둘째는 ‘열정을 가질 수 있는 분야’입니다. 열정을 가질 수 있으면서 물질적인 보상까지 얻을 수 있는 직업을 선택하라는 의미이죠.
하지만 이러한 조언의 문제는 대부분 사람은 어느 분야에서 자신들이 큰 열정을 느끼는지 잘 알지 못한다는 사실에 있습니다. 운 좋게 열정이 느껴지는 분야가 있다고 할지라도 미래에도 이러한 열정이 지속할 수 있을지 쉽게 장담하기 힘들죠. 게다가 시간을 들여 곰곰이 생각하거나 탐색한다고 해서 쉽게 열정을 발견할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흔히 사람들은 열정이 우리의 마음속 어딘 가에 이미 가공된 상태로 잠재하고 있는 것처럼 얘기하지만, 열정은 ‘어딘가에 있는 것’이라기 보다 의미 있는 일에 이바지하면서 ‘점점 발달되는 것’에 가깝습니다. 청년 시절 스티브 잡스를 사로잡은 것은 컴퓨터가 아니라 오히려 불교였죠.
와튼 스쿨의 아담 그랜트(Adam Grant) 교수는 의미 없는 직업의 공통점은 타인의 삶에 아무런 이바지를 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한 연구는 본인이 수행하는 일이 자신보다 타인의 삶에 크게 이바지할 경우 일에 대한 만족도가 훨씬 높아진다는 사실을 발견하기도 했습니다. 타인을 돕는 데서 느끼는 행복이 자신을 위한 일에서 느끼는 행복보다 훨씬 오래도록 지속된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기도 했죠.
현실적으로 사회 구성원 모두가 자신이 열정을 느끼는 분야에서만 일할 수는 없습니다. 더욱이 구성원 모두가 각자 어느 분야에서 열정을 느끼는지 분명하게 이해하고 있는 것도 아닙니다. 하지만 타인의 삶에 이바지하는 삶은 모두가 추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로 인한 행복은 직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사회 초년생들에게 무작정 열정을 강조하기보다는 오히려 타인의 삶에 이바지할 수 있는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는 이유입니다. (Quartz)
'그냥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문 100가지를 할 수 있으면 책을 쓸 수 있다'고 한다 (0) | 2019.03.07 |
---|---|
불교가 좋다! (0) | 2017.09.12 |
지식의 착각: 생각이 혼자만의 것이 아닌 까닭(The Knowledge Illusion: Why We Never Think Alone) (0) | 2017.08.29 |
백의 그림자를 읽고 신형철 평론가의 글을 읽고 (0) | 2017.06.21 |
오늘이 이야기 : 오늘이, 적막한 들에서 원천강으로 (0) | 2017.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