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드라망생명공동체 소식지 '월간 인드라망' 귀농탐방 꼭지를 위해 서정홍 선생을 만났다.
주인공은 서정홍 샘이 소개해준 김예슬 청년 농부. 4년차에 들어선 젊은 (여성)농부이다. 그의 삶을 조금 들여다보고 농부로 살아간 과정들을 들어보았다. 20대 중반쯤이다. 말은 천천히 느리게 하고 여려 보이지만, 내면은 단단하게 뭔가로 차 있다는 느낌이었다. 존경하는 마음이 생겼다.^^ 멋져 보이기도 하고. 질투가 나는 게 있었다. 글도 잘쓰고, 글씨(캘리~)도 잘쓰고, 서각도 하고, 커피도 내리고, 빵도 굽고, 농사까지 하고! 

청년농부라 불리는 게 좋다고 한다. 내공을 쌓아서 농부 시인으로 불리고 싶단다. 쭉 꽃길을 걷기를 빌어주고 싶다.^_^

자세한 건 6월에 나올 인드라망 소식지에 싣는 걸로 하고.^^

인터뷰 마치고 서정홍 샘 밭에 들렀다. 박하밭에서 서정홍 샘 아내 님(?)께서 풀을 뽑고, 박하를 거두고 계셨다.

사진 속 울타리 너머는 뭘까?
이게 바로 밭 울타리였다. 감성 넘치는 농부의 밭울타리라면 이쯤은 되어야지 싶다.ㅎㅎ

#맨 밑 사진은 김예슬 청년농부와 밭에서 얘기나누는 모습을 함께간 인드라망의 소울메이트께서 붙잡아 남겨주었다!^^


Posted by 익은수박
,

여러분!

아름다운 봄이에요~^^

두리번거리면서 발 아래, 둘레를 살펴보세요.

새싹이 돋는 게 보이지 않나요?

아마 하느님께서도 인간이 나고 죽고, 다시 아이가 태어나는 모습을 보면서 신비롭다 하지 않을까 싶네요.ㅎㅎ

암튼 채 녹지 않는 흙을 뚫고 싹이 돋아나는 식물의 힘은 놀랍습니다.

 

수년 동안, 아니 어린시절 경험까지 더하면 수십년을 우리 풀꽃과 함께한 풀꽃 삼촌 김영철 아저씨가 직접 보고 살피고 조사하여 쓴 <우리 풀꽃 이야기>가 곧 책으로 나온답니다. 여기에 세밀화 그림을 넣기 위해 1년 내내 곳곳을 돌아다니며 자료 조사와 취재 등을 해온 이승원, 박동호 화가들의 세밀화가 더해졌습니다.

 

이 책을 읽게 되면

냉이가 여름잠을 잔다는 것도 알 게 되고,

파리약을 사지 않고도 이 식물의 뿌리로 파리약을 만들 수도 있고,

팔만대장경을 보관한 해인사를 비롯하여 불경 등 옛날에 책을 많이 만들던 절 주변에 상사화가 많이 자라는 까닭

또한
알 수 있답니다.

 

이것 말고도 우리 풀꽃들의 비밀을 비롯하여 식물에 관한 지식 들을 아주 쉽게 깨칠 수 있습니다.

아름다운 세밀화 감상은 두말할 것도 없고요.^^

 

 

임시로 만든 표지입니다. 곧 최종 표지가 나올 텐데, 그때 다시 정식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책을 먼저 본 분들의 소감을 살짝 볼까요?^^

----------

자연과 친구가 되어 보면 어떨까요. 친구가 되려면 먼저 이름은 알아야겠지요. 그리고 어떻게 살아가는지, 왜 그렇게 살게 되었는지, 이름은 무엇 때문에 붙여지게 되었는지 따위를 알면 알수록 점점 친한 친구가 되지 않을까요? 이 책은 여러분이 식물과 친구가 되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 생태세밀화가 이태수


어린 시절을 자연에서 보낸 아름다운 추억은 삶을 밀어가는 데 없어서는 안 될 큰 힘입니다. - 농부 시인 서정홍

 

어린시절 자연에서 몸으로 체험한 식물에 대한 경험을 소개하고 있으며, 부모 세대의 식물에 대한 경험 소개와 궁금증을 해결하는 과정을 짧은 에피소드의 수필처럼 다루고 있다. 소소한 일상생활의 한 부분에 식물에 대한 이야기를 끼워 넣음으로써, 식물과 인간의 삶이 하나임을 잘 드러내고 있다. - 간행물윤리위원회 심사평


Posted by 익은수박
,

이불을 꿰매면서

박노해

 

이불 호청을 꿰매면서 속옷 빨래를 하면서 나는 부끄러움의 가슴을 친다. 똑같이 공장에서 돌아와 자정이 넘도록 설거지에 방청소에 고추장단지 뚜껑까지 마무리하는 아내에게 나는 그저 밥달라 물달라 옷달라 시켰었다. 동료들과 노조일을 하고부터 거만하고 전제적인 기업주의 짓거리가 대접받는 남편의 이름으로 아내에게 자행되고 있음을 아프게 직시한다. 명령하는 남자, 순종하는 여자라고 세상이 가르쳐 준 대로 아내를 야금야금 갉아먹으면서 나는 성실한 모범근로자였었다. 노조를 만들면서 저들의 칭찬과 모범표창이 고양이 꼬리에 매단 방울소리임을, 근로자를 가족처럼 사랑하는 보살핌이 허울좋은 솜사탕임을 똑똑히 깨달았다. 편리한 이론과 절대적 권위와 상식으로 포장된 몸서리쳐지는 이윤추구처럼 나 역시 아내를 착취하고 가정의 독재자가 되었었다. 투쟁이 깊어 갈수록 실천 속에서 나는 저들의 찌꺼기를 배설해 낸다. 노동자는 이윤 낳는 기계가 아닌 것처럼 아내는 나의 몸종이 아니고 평등하게 사랑하는 친구이며 부부라는 것을, 우리의 모든 관계는 신뢰와 존중과 민주주의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잔업 끝내고 돌아올 아내를 기다리며 이불홑청을 꿰매면서 아픈 각성의 바늘을 찌른다.

  

...............

 

욕이 아닌, 배설이 아닌, 비판의 글이 되고 살아있는 글이 되려면 나에서 출발하는 글이어야 한다고 하였다. 오도엽님께서  ^^

그러면서 인용한 박노해 시인의 '이불을 꿰매면서'라는 시를 달아놓았다.

저 바늘이 나를 찌르는 것 같다.

박노해 님의 시와 오도엽 님의 글을 보며, 서정홍 선생님의 '아무리 바빠도 아버지 노릇은 해야지요'가 자꾸 떠오른다.

Posted by 익은수박
,